가로등은 누가 켜는 걸까?
link  몽땅빗자루   2022-10-22

가로등 안에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있다.

이 센서는 가로등 주변의 밝음과 어둠을 감지하여 가로등 전원을 껐다 켰다 하기 때문에 불이 켜지고, 꺼지는 것이다.

센서는 황화카드뮴이나 실리콘과 같은 감광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감광물질이란 빛의 밝기에 따라 원자의 성질이 달라지는 물질을 말한다.

이 물질에 어느 밝기 이상의 햇빛이 닿으면 전자를 한 원자에서 다음 원자로 이동시킨다.

새벽이 되어 빛이 점점 밝아지고 센서 속의 감광물질에 어느 밝기 이상의 햇빛이 비추어지면, 전류가 차단회로로 흐르게 되고 가로등의 전원은 차단되어 밤새도록 길을 환하게 밝혀주던 가로등은 그 임무를 마치고 조용히 꺼지게 된다.

반대로 저녁이 되어 점점 어두워지면 이 센서 속의 감광물질들이 활성을 잃어 차단회로의 전류가 끊어지고, 가로등에 전원이 공급되어 가로등이 켜진다.













지식사냥 잡학사전















연관 키워드
개미, 명언, 나무, 프로방스, 꼬막삶기, 과일쥬스, 마카롱, 향초, 호커문화, 바비큐, 뉴욕레스토랑, 딸꾹질, 습관, 재미있는이야기, 냉동인간, 시금치파스타, 도미노, 기도, 발효음식, 아타카마사막
Made By 호가계부